대표적인 웹테스트 6종류 기본 소개
본문
오늘은 대표적인 웹테스트 6종류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테스트의 특징부터 출제범위, 그리고 응시 형식까지 함께 분석했으니 일본 취업을 이제 준비하기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SPI (Synthetic Personality Inventory)
【특징】
-
가장 많은 기업이 채용 시 사용하는 표준 테스트
-
구성: 언어(국어), 비언어(수학·논리), 영어(*일부 기업만), 성격 검사
【출제 범위】
-
언어: 어휘, 독해, 문법
-
비언어: 비율, 비율비교, 추론, 집합, 표 해석 등
-
영어(기업에 따라): 문법, 독해
-
성격 검사: 적성 판단 (거짓말이나 모순이 드러날 수 있으므로 정직하게 일관성 있게 답하는 것이 중요)
【형식】
-
웹시험 또는 시험센터(현장 응시)
-
기업마다 커스터마이즈되는 경우 있음
타마테바코 玉手箱 (TG-WEB Type1)
【특징】
-
외자계, 대기업(금융·제조 등)에서 자주 사용
-
SPI보다도 속도 중시 (시간 제한이 매우 빡빡함)
【출제 범위】
-
언어: 장문 독해(2~3문항), 문맥 파악
-
비언어: 사칙 연산, 표·그래프 해석, 추론
-
영어(기업에 따라): 장문 독해, 어휘, 문법 문제
【형식】
-
웹 시험(자택)
-
기업마다 출제 형식이 다르며, 장문 독해 중심이 되는 경우도 있음
TG-WEB (Type2)
【특징】
-
두뇌 수준을 평가하는 고난도 문제 다수
-
특히 컨설팅·난이도 높은 기업에서 사용
-
SPI나 타마테바코보다 난이도 높음
【출제 범위】
-
언어: 논리 독해(어려운 장문)
-
비언어: 추론 문제 (고도의 논리적 사고 요구)
-
영어(기업에 따라): 장문 독해
【형식】
-
웹 시험(자택)
-
난이도가 높아, 사전 대비 없이는 풀기 어려움
GAB・CAB (SHL社)
【특징】
-
외자계, 컨설팅, 금융계에서 사용
-
GAB: 일반 직무용 (표 해석 많음)
-
CAB: 엔지니어·기술직용 (논리적 사고력 중시)
【출제 범위】
-
GAB (종합직용):
-
언어: 장문 독해
-
비언어: 표·그래프 해석
-
-
CAB (엔지니어용):
-
언어: 논리 독해
-
비언어: 규칙성 발견, 명령어 표 해석 (프로그래밍적 사고)
-
【형식】
-
웹 시험 또는 시험센터
OPQ (적성검사)
【특징】
-
성격 검사만 포함 (지능 테스트 없음)
-
외자계나 IT계 기업에서 많이 사용
-
자신의 가치관·사고 경향 파악 목적
【형식】
-
웹 시험
-
적성 진단이므로 대비는 불필요
(단, 모순 없이 일관성 있게 답하는 것이 중요)
eF-1G (NTT 데이터 그룹 등에서 채용 시 사용)
【특징】
-
계산 처리 속도가 요구됨
-
난이도는 SPI와 비슷하지만 시간 제한이 더 까다로움
【출제 범위】
-
언어: 어휘, 독해
-
비언어: 사칙 연산, 추론
-
성격 검사 포함
【형식】
-
웹 시험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