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대기업 내정자가 알려주는 완벽한 자기분석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무작정 시작하기보다 스텝을 나누고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면 어느새 탄탄한 자기분석이 되어 있을 겁니다! 꼭 살펴보세요!
자기분석의 위치 설정
-
취업활동의 목적은?
→ 지망 기업으로부터 납득 가능한 내정을 받는 것
-
지망 기업으로부터 내정을 받기 위해서는?
→ ES(자기소개서)나 면접 등의 선별 과정을 통과해야 함
-
각 선별 과정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 학치카(학창시절 노력한 일), 지망동기 등의 설득력을 높여야 함
-
각 질문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 자기분석의 완성도를 **120%**로 끌어올려야 함
자기분석의 목적
-
기업 선택의 기준을 명확히 하여 설득력·논리성이 있는 지망동기를 만든다 (= 지망동기)
-
자신의 가치관, 성격, 강점, 약점을 아는 것으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이 기업에서 어떻게 활약할 수 있을지를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 학치카·자기PR)
???? 이 두 가지 **목적(목표)**를 염두에 두고 읽어 나가 주세요.
어릴 적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을 쭉 적어본다
먼저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경험을 정리해보세요.
이때, 기억에 남지 않는 일은 ES나 면접에서 쓰기 어렵고
모든 걸 정리할 시간도 없으므로
기억에 남는 경험만 정리하면 OK입니다.
경험에 감정을 붙여 +와 -로 나누고, 모티베이션 그래프를 만든다
예: "초등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운동장에서 축구를 했다"
→ "그때 어떤 기분이었는가?"를 말로 표현
말로 표현하면 + 감정인지 - 감정인지로 나눠
그걸 바탕으로 모티베이션 그래프를 작성해보세요.
앞에서 나온 경험을 깊이 파고든다
(예시 플로우)
-
고등학교 때 결승골 → 왜 기뻤는가
-
노력의 결과가 나왔기 때문 → 왜 노력할 수 있었는가
-
인간성(겸손, 솔직, 성실)을 살리고 싶었기 때문
-
왜 그런 인간성을 가지게 되었는가?
-
경영자인 아버지의 생활에서 영향 → 가치관·사고방식 파악
결론:
① 내 인간성을 살려 주변을 기쁘게 하고 싶다
② 아버지 같은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과 함께 일하고 싶다
스텝 3처럼 자연스럽지 않을 경우, 나의 욕구로 연결해보기
(욕구 목록 예시)
-
指導欲求: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し、集団をまとめたい
→ 지도욕구: 리더십을 발휘하여 집단을 이끌고 싶다
競争欲求:他人と争いたい・競いたい
→ 경쟁욕구: 타인과 경쟁하고 싶다
支配欲求:人に命令や指示をしたい
→ 지배욕구: 타인에게 명령하거나 지시하고 싶다
愉快欲求:みんなで一緒にワイワイ騒ぎたい
→ 유쾌욕구: 다 함께 떠들썩하게 즐기고 싶다
自由欲求:誰にも縛られず、自由な生活をしたい
→ 자유욕구: 누구에게도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살고 싶다
好奇心欲求:新しいことや、珍しいことを経験したい
→ 호기심욕구: 새로운 일이나 특이한 경험을 해보고 싶다
自己成長欲求:自分自身を成長させ、充実したい
→ 자기성장욕구: 나 자신을 성장시키고 충실한 삶을 살고 싶다
知識欲求:多くのことを学び、知識を増やしたい
→ 지식욕구: 많은 것을 배우고 지식을 넓히고 싶다
理解欲求:物事の原因関係を理解したい
→ 이해욕구: 사물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고 싶다
自己実現欲求:人生目標をしっかり立てて、日々努力したい
→ 자기실현욕구: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매일 노력하며 살고 싶다
達成欲求:大きなことを成し遂げて、納得したい
→ 성취욕구: 큰일을 이루고 스스로 납득하고 싶다
社会貢献欲求:住みよい社会を作るために貢献したい
→ 사회공헌욕구: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기여하고 싶다
援助欲求:弱者や困っている人のために面倒をみてあげたい
→ 원조욕구: 약자나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고 싶다
教示欲求:得意分野について、先生として人に教えたい
→ 교육욕구: 잘하는 분야를 다른 사람에게 가르쳐주고 싶다
生活安定欲求:安定した生活を送りたい
→ 생활안정욕구: 안정된 생활을 하고 싶다
挑戦欲求:危険でも挑戦してみたい
→ 도전욕구: 위험하더라도 도전해보고 싶다
協調欲求:安定した人間関係を築いて、協力したい
→ 협조욕구: 안정적인 인간관계를 쌓고 협력하고 싶다
-
다음 순서로 업계·기업으로 연결해보자
-
즐거웠던 일, 기뻤던 일의 공통점(가치관, 성격) 쓰기
-
힘들었던 일, 괴로웠던 일의 공통점 쓰기
-
그것을 "일할 때 기업에 바라는 것"으로 바꾸기
-
기업에 바라는 것 / 중요시하는 것 / 절대 싫은 것으로 나누기
-
우선순위 매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