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생활

뒤늦게 나마 써보는 일본 전입신고 이야기

컨텐츠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b8cb70344c79f3b084cbe4045c8b70a7_1733285752_023.jpg

리오입니다.


b8cb70344c79f3b084cbe4045c8b70a7_1733285774_3619.jpg

오늘은 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일본에 막 도착했을 때의 이야기인데요.

벌써 3개월 전이긴 합니다만 그때 진행했던 일본 전입신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합니다.


우선 워홀러인 제 기준에서 작성하는 글이기에 이점은 숙지해주시길 바라며,

유학생이나 다른 쪽은 어떻게 진행되는 지는 잘 모르기에 양해 바랍니다.



[공항에서 재류카드 발급]


우선 워홀로 일본에 입국한 경우 입국 심사 시에 이번 입국은 워홀로 왔다 비자를 사용하겠다

말하면 심사원분이 하나씩 안내를 해주십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그냥 비자있는데 쓰시나요? 물어보셔서 넹 했습니당)

하나씩 물어보시는 말에 답하고, 절차대로 따라만 주시면 됩니다.

(오래걸리지는 않고 한 10분정도로 짧게 끝났던 것 같습니다.)


b8cb70344c79f3b084cbe4045c8b70a7_1733286234_3405.png

그렇게 절차를 마무리하면 위와 같은 재류카드가 발급되게 됩니다.

이때 받는 재류 카드는 일종의 신분증이기에 잃어버리시면 안됩니당.


[입국 이후 14일이내 전입신고 진행]


네 이후에 일본에서 거주할 집에 입주를 마치고

집에 하자가 있는지 확인도 하고, 간단하게 이부자리를 정리한 후

본격적으로 전입신고를 진행하러 이동합니다.


전입신고를 진행하러 구청에 가기전 챙겨야할 물건이 몇가지 있습니다.


- 여권 [필]

- 재류카드 [필]

- 도장(인감) 

-그 외 기타 신분증


예... 사실 여권하고 재류카드만 있어도 문제는 없이 잘 진행했고

지금도 마이 넘버카드도 발급받아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만

사실 도장이나 신분증은 불안하시면 챙겨가시길 권합니다.


자 그럼 출발할 시에

본인의 재류카드에 OO라는 한자가 적혀있을텐데요.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구니 관할 구청으로 구글등에 검색하여 이동합니다.


그렇게 구청에 도착하시면 안내원분들이 서있거나 하실텐데요.

그분들에게 전입신고를 하러 왔다 말씀드리면 서류를 작성해서

가져와달라고 하십니다.


b8cb70344c79f3b084cbe4045c8b70a7_1733286271_203.png

서류는 위와 같이 생긴 서류입니다.

이제부터 서류를 하나하나 적어봅시다.


1. 이사일과 신고일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39_7977.png

우선 위에 두 날짜는 이사일과 신고일입니다.

이사일은 집에 들어온 일자를 쓰시면되며, 신고일은 구청에 방문한 당일 날짜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아챀 연호는 검색해보시면 나오긴 하지만 잘 모르겠다 싶으면 서력에 동그라미 치시고 그냥 년, 월, 일 적어주시면 됩니다.


2. 주소지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39_9892.png
다음은 주소지입니다.

이 부분은 재류카드 뒷면의 주소를 그대로 적어주시면됩니다.



3. 세대주 인적사항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0_4243.png

다음은 세대주를 쓰는 공간인데요.

혼자사시면 본인의 인적사항 쓰시면됩니다.

전 친구와 같이 사는데, 각자 세대주로 적으면 된다고 하셨었어요.


4. 신고자와 세대주의 관계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1_1643.png
이 부분은 신고하러 온 사람이 누군지를 물어보는 부분입니다.

그냥 본인이 세대주면 다 좌측에 체크하시면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문항은 본인에 체크


5. 구 주소와 전 세대주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1_3484.png
이 부분은 이사오기전 주소와 세대주를 적는 란인데요.

제 기억상 그냥 공란으로 작성해서 냈습니다.

혹시 모르니 이 부분은 구청에서 안내원분께 다시한번 여쭤보시면 좋겠습니다.


6. 마이넘버 카드 관련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2_4519.png

이 부분은 마이넘버카드 부분인데 

저희는 이제 막 발급받는 시점이라 여기도 공란으로 제출했었습니다.


7. 거주자 인적사항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3_2381.png
이제 여긴 간단하게 인적사항 기재하는 부분입니다.

왼측부터 이름을 작성, 기억상으론 영어로 작성했던 것 같습니다.

재류카드에 있는 이름을 사용해야한다고도 적혀있기에 영어로 적어줍시다.


다음은 생년월일과 성별, 그리고 뒷부분 유무 체크부분이 조금 긴가민가 하는 부분인지라...ㅠ

이 부분은 안내원분에게 여쭤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ㅠ 죄송합니다.)


이어 우측은 제 기억상으론 공란으로 들고갔었습니다.


8. 주민표 발행 여부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6544_7732.png
다음은 주민표 신청인데요, 사실 저는 신청해서 들고다니긴했습니다.

마이넘버 카드가 나오기 전까지 신분증 느낌으로 들고다니려했는데... 뭐 생각보다 핸드폰 개통이나 그런것들이 전부 재류카드나 여권으로

해결이 되는 바람에 신청을 한 의미가 없긴했네요.


이 부분은 선택사항이니 선택하셔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이 서류 작성을 마친 후 안내원 분에게 돌아가면,

최종적으로 서류를 한번 봐주신 이후에 문제가 없다면 그대로 창구 접수를 해주십니다.

그럼 그냥 번호표 받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이후에 번호가 불려지면 창구에서 절차를 진행해주시는데요.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니, 챙겨오신 재류카드와 여권을 꺼내두었다가

달라하실때 주시면됩니다.


절차가 끝나고 나면 마이넘버카드 발송 안내를 해주십니다.

마이넘버 카드는 수령까지 꽤 긴 시간이 소요되니 알아만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이넘버 카드 수령 관련은 이후에 또 글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주민표를 신청하신 분들은 주민표를 받아가라며, 담당 창구로 안내해주십니다.

주민표 수령창구에가 있으면 본인 번호가 호출되오니 받으러 가시면됩니다.


아 중요한건 주민표 발급에는 수수료가 붙습니다. 그러니 현금을 챙겨갑시다. 

그리고 발급까지 약 1시간정도 소요되니 점심을 드시던 잠을 주무시든 시간을 보내시는 방법도 강구해가시면 좋습니다.


주민표를 신청 안하신 분들과 주민표를 받으신 분들은

이어서 건강보험과 연금을 맞이하러 가야하는데요.


저희 구의 구청은 2층에 담당창구가 따로 있었는데,

각 구청마다 위치가 다르니 안내원분들의 도움을 받읍시다.


그리고 이동하시면 여기도 서류를 작성합니다.

음... 서류 사진을 찍어야하는데 까먹었네요..ㅠㅍㅠ

일단 창구로 넘어오시면 안내원 분들이 또 안내를 해주십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워홀러는 연금은 전액 면제가 가능하고, 건보료는 감면이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연금의 경우 담당코너에서 면제관련 신청 서류를 작성하시면 담당자분이 안내해주시면서 설명해주십니다.

음 근데 안내원 분의 말씀중에서 기억에 남는 건 면제 신청을 해도 

내년 전반기분까지의 연금 고지서가 날라온다 하셨던 점과

그리고 무시해도 된다라는 점이네요.


그리고 혹여나 본인이 워홀 이후 취로로 전환하여 거주를 희망하는 사람이 있다면,

연금 면제 관련 건은 좀 더 알아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주변에서 워홀로 오셨다 거주를 하고 계시는 분들이 거주를 생각한다면 연금을 내면서 

워홀을 시작하는게 좋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음 그래도 이 점은 본인이 선택하시면 될 부분이기에 언급만 해두겠습니다.


이어서 건보료 감면은 연금이 마무리되면 다시 안내원 분을 통해 창구에 접수가 가능합니다.

건보료도 간단하게 서류 작성을 하고 상담창구를 통해 절차를 밟는데요.

이때 건보료 관련해서는 한국어 안내 책자도 배부가 됩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달라시는 것만 잘 주시고, 이후에 집에 와서 책자를 정독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건보료는 감면 신청을 하고나면 건강보험증을 주십니다.

잘 챙겨두시길 바랍니다. 잊어버리면 귀찮습니다...ㅎ;;


그리고 건보료는 저의 경우 한 두 달은 개월 분으로 오다가

지난달에 한번에 5개월 분의 건보료 고지서가 왔습니다.

하지만 한번에 다 가능하시면 내시고, 아니면 각 고지서마다

기입되어있는 최종납부일까지만 제대로 납부해주시면됩니다.

0985835ae730af563a4e0392a67790a8_1733409859_6275.jpg
(위와 같이 기간이 있습니다..!)


뭔가 설명을 하기엔 부족했던 글 같지만

정말 생각보다 어려움 없이 진행 할 수 있는 절차입니다.

특히 워킹홀리데이가 많아서 그런지 대부분 안내원 분들이

이 부분은 친절하게 안내해주시니 잘 따라서 진행만 해주신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오늘의 글에서 다룬 점은 3가지인데요.

1. 전입 신고하기

2. 국민연금 면제 신청하기

3. 건보료 감면 신청하기

2,3 번은 초창기 나가는 금액을 따지다보면

부담이 되는 금액인 만큼 꼭 감면하고 면제신청하셔서 알뜰하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글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